post3 Get과 Post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1. 요약 2. Get 2-1. 개념 2-2. 특징 3. Post 3-1. 개념 3-2. 특징 4. 멱등성 4-1. 개념 5. 알아두면 재밌는 이야기 5-1. Delete로 마지막 데이터를 삭제하면 안 된다고? 5-2. Google Accelerator 사건 1. 요약 xxx 지원자님, Get과 Post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해보시겠어요? 우선 기본적으로 Get은 리소스를 요청하는 메서드, Post는 리소스를 생성하는 메서드입니다. 둘의 차이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몇 가지만 말씀드리자면 Get은 멱등성을 가지기 때문에 캐시가 가능하고 Post는 멱등성을 가지지 않으며 캐시가 불가능합니다. 또 Get은 데이터를 Url에 담아 보내며 데이터 길이에 제한이 있고 Post는 body에 담아 보내며 길이 제한이 없.. 2022. 6. 21. 레트로핏을 이용하여 서버와 통신하자! 1. 사용법 1-1. Interface 정의 1-2. Retrofit 객체 생성 1-3. HTTP 요청과 응답 2. 예제 소스 이번 게시물에서는 Retrofit을 이용하여 버튼을 누를 때마다 다음 페이지의 공지사항을 불러와서 띄우는 기능을 구현할 것이다. 사이트는 크롤링을 허용해둔 배민 사장님 광장을 이용하였다. Retrofit의 개념과 사용 전 알아야 할것들은 이미 이전 게시물에서 다루었다. 먼저 읽고 오는 것을 추천! 1. 사용법 1-1. Interface 정의 interface BaeminService { @GET("contents?typeCode=notice&size=10") fun loadNotice(@Query("page") page: String): Call } 우선 위와 같은 API int.. 2021. 4. 12. Retrofit이란? (사용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1. Retrofit 1-1. Retrofit 이란? 1-2. TMI 2. 기본 개념 2-1. Request URL 2-2. JSON과 HTML 2-3. GET과 POST 2-4. parameter 3. 사용 전 세팅 3-1. gradle 3-2. AndroidManifest.xml 3-3. data class 생성 1. Retrofit 1-1. Retrofit 이란? Retrofit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http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이다. 더 쉽게 말하자면 안드로이드에서 http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놈이다. 예를 들어, retrofit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위 사이트의 공지사항들을 불러올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최저가 상품을 모아서 보여준다던가, 쇼핑몰 옷 사진들을 모아서 보여준다던가 .. 2021. 4.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