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은 뭘 배울까?/Android

LiveData(라이브 데이터)란?

by Kim Juhwan 2021. 5. 14.

1. LiveData란?
   1-1. Observer
   1-2. LiveData
   1-3. LiveData의 장점
2. 사용법
   2-1. gradle
   2-2. LiveData 객체 생성
   2-3. Observer 객체 생성
3. 예제
4. 더 알아보기
   3-1. LifeCycleOwner
   3-2. observeForever

 

 


 

1. LiveData란?

1-1. Observer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 activity 설정 관련 소스 생략
        
        DB에서 초기 아이템 목록 호출
        UI 업데이트
        
        추가 버튼 클릭 리스너 {
            아이템 추가
            UI 업데이트
        }
        
        삭제 버튼 클릭 리스너 {
            아이템 삭제
            UI 업데이트
        }
    }
}

예전에 LiveData의 존재를 모르고 마구잡이로 개발을 했을 때 나는 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했었다.

메모를 저장하는 앱이였는데 메모를 불러오거나, 추가, 삭제할 때마다 매번 일일이 UI를 업데이트해줘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삭제 버튼 클릭 리스너 {
            아이템 삭제 // DB에서 아이템을 삭제해야하는데 이게 너무 오래걸렸음
            UI 업데이트 // 그래서 삭제가 되기도 전에 업데이트가 이루어져버림
        }

더군다나 DB에서 아이템을 삭제하는 경우에는

삭제 후 UI 업데이트가 이루어져야하는데

삭제 작업은 메인 스레드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데다가 오래 걸리는 작업이기 때문에

UI 업데이트가 이루어진 후 아이템 삭제가 돼서 실제 화면에서는 삭제가 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문제가 생겼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

 

아이템 추가나 삭제 같은 데이터 변경을 요청했을 때

누군가가 데이터의 변경이 완료되기를 기다리고 있다가 나에게 알려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출처: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00927/31426075/1

중학생 때 친구들끼리 동전을 걸고 하는 판치기를 가끔 하곤 했었다.

선생님께 걸리면 혼나기 때문에 꼭 한 명은 교실 뒷문에서 망을 보는 역할을 해야 했다.

선생님이 오시는지 감시를 하고 있다가 애들한테 알려주는 관찰자 역할.

그것이 바로 이번 목차에서 설명하고자 했던 Observer이다. (이야 이거 설명하려고 진짜 먼길 돌아왔다)

 

안드로이드에서의 Observer는 데이터가 변경되는지 감시하고 있다가 UI 컨트롤러 (Activity)에게 알려준다.

알림을 들은 UI 컨트롤러는 그 데이터를 가지고 UI를 업데이트하는 그런 개념인 것이다.

 

단 여기서 Observer는 아무 데이터나 감시할 수 있는 게 아니라

LiveData라는 데이터 홀더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만 감시할 수 있다.

이어서 LiveData에 대해 알아보자.

 

1-2. LiveData

var height = 183

만약 키를 저장하는 변수 height의 값이 변경되는지 감시하고 싶다고 치자.

 

var height = MutableLiveData<Int>() // int형 값을 넣을 거라는 걸 명시해주어야 한다.

height.value = 183

위와 같이 MutableLiveData 객체를 생성하고 값을 넣을 때는. value를 통해 넣어주면 된다.

이제부터 이 데이터는 Observer가 감시할 수 있는 데이터가 되는 것이다.

 

 

public class MutableLiveData<T> extends LiveData<T> {

    public MutableLiveData(T value) {
        super(value);
    }

    public MutableLiveData() {
        super();
    }

    @Override
    public void postValue(T value) {
        super.postValue(value);
    }

    @Override
    public void setValue(T value) {
        super.setValue(value);
    }
}

MutableLiveData 클래스는 LiveData를 상속받는 클래스이다.

LiveData에 postValue와 setValue (값을 넣는 메서드)를 추가한 클래스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 MutableLiveData는 말 그대로 값의 수정이 가능하고

LiveData는 값의 수정이 불가능하다.

 

 

분명 LiveData를 사용하면 값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했는데..

값의 수정이 불가능하면.. 애초에 값이 변화하질 않잖아..?

 

 

만약 클린 아키텍처에 대해 알고 있다면 그 이유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키텍처 패턴 중 하나인 MVVM 패턴을 사용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될 것이다.

 

 

 

① 웹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등의 값 변경이 일어난다.

② MutableLiveData와 LiveData가 연결되어 있다.

③ 관찰자는 MutableLiveData가 아닌 LiveData를 관찰한다.

즉 데이터 변경이 일어나면 ①-②-③ 순서를 거쳐 관찰자가 변경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UI를 업데이트한다.

 

②를 제외하고 ①에서 ③으로 바로 가도 되는데 굳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UI 컨트롤러(액티비티, 프래그먼트)가 값을 직접 수정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클린 아키텍처를 모르는 상태에서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보려고 했는데 쉽지가 않은 것 같다... 끙...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나중에 다시 수정하자.

 

1-3. LiveData의 장점

  • 데이터와 UI 상태 일치 보장
    • LiveData는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Observer 객체에게 알려주고, Observer는 알림을 받을 때마다 대신 UI를 업데이트하므로 데이터와 UI 상태 일치를 보장한다.
  • 메모리 누수 없음
    • Observer는 Activity나 Fragment의 수명 주기를 따르며 수명 주기가 끝나면 자동으로 삭제된다. 따로 메모리를 해제하거나 하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 중지된 활동으로 인한 비정상 종료 없음
    • Activity나 Fragment가 백 스택에 있을 때 Observer는 비활성 상태가 되며, 이때는 어떤 LiveData 이벤트도 수신받지 않는다.
  • 수명 주기를 수동으로 처리하지 않음
    • UI 구성요소는 데이터를 관찰할 수만 있고 관찰을 중지하거나 다시 시작하지 않는다. 대신 수명 주기 상태의 변경을 인식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자동으로 관리한다.
  • 최신 데이터 유지
    • 수명 주기가 비활성 -> 활성으로 다시 돌아올 때 최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 적절한 구성 변경
    • 기존 방식은 기기를 회전하기 전 saveInstanceState를 이용해 기존 데이터를 보관해두었다가 회전 후 데이터를 가져와 다시 복원하는 방식이었으나 LiveData를 사용하면 이런 작업을 하지 않아도 최신 데이터를 즉시 받게 된다.
  • 리소스 공유
    • LiveData 객체가 시스템 서비스에 한 번 연결되면 LiveData가 필요한 모든 곳에서(모든 Observer가) LiveData 객체를 관찰할 수 있다.

 

2. 사용법

2-1. gradle

    def lifecycle_version = "2.3.0"
    // ViewModel
    implementation "androidx.lifecycle:lifecycle-viewmodel-ktx:$lifecycle_version"
    // LiveData
    implementation "androidx.lifecycle:lifecycle-livedata-ktx:$lifecycle_version"

ViewModel은 보통 LiveData와 같이 사용하기 때문에 추가해준다.

버전 정보는 공식문서에서 확인하자.

 

2-2. LiveData 객체 생성

class BaeminRepository {

    var _baeminNotice = MutableLiveData<자료형>() // MutableLiveData 객체 생성

    // ViewModel에서 이 메서드를 호출하면 다음 페이지 공지사항을 불러온다.
    fun loadBaeminNotice() {
        .
        .
        .
        (웹 사이트에서 공지사항을 불러오는 코드)
        .
        .
        .
        
        _baeminNotice.value = (불러온 공지사항) // 값의 변경이 일어난다.
    }
}

실제로 LiveData를 사용한 예제에서 헷갈릴만한 부분들을 다 덜어냈다.

객체를 생성하고 값을 변경하는 코드이다.

 

class MainViewModel : ViewModel() {
    // repository 객체 생성
    private val baeminRepository = BaeminRepository()

    // repository에 있는 MutableLiveData를 ViewModel의 LiveData에 넣는다.
    private val baeminNotice: LiveData<자료형>
        get() = baeminRepository._baeminNotice

    fun loadBaeminNotice(){
        baeminRepository.loadBaeminNotice() // repository에 있는 메서드를 호출함으로써 다음 공지사항을 불러온다.
    }

    fun getAll(): LiveData<자료형> {
        return baeminNotice
    }
}

ViewModel에서는 Repository 객체를 생성하고 MutableLiveData를 LiveData에 넣는다.

이때 보통 MutableLiveData 변수명 앞에는 _를 붙이고 LiveData는 붙이지 않는다.

위 예제에서는 _baeminNotice와 baeminNotice로 정해주었다.

이와 같이 네이밍 하는 이유는 같은 LiveData지만 값 수정이 가능한 라이브 데이터인지 쉽게 구별하기 위함인 듯하다.

(그냥 통용되는 규칙 정도)

 

2-3. Observer 객체 생성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private val model: MainViewModel by viewModels()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
        .
        .
        // Observer를 생성해서 LiveData와 연결하는 작업
        model.getAll().observe(this, Observer{ notice ->
            // notice에 공지사항이 들어있음
        })
        .
        .
        .
        
        // 버튼 누를때마다 ViewModel의 loadBaeminNotice가 호출하도록 해놓음
        binding.btnLoadNextPage.setOnClickListener {
            model.loadBaeminNotice()
        }
    }
}

이제 판치기 할 때 망을 봐주는 친구 역할인 데이터 변경을 감시하는 관찰자를 생성할 차례이다.

 

        // Observer를 생성해서 LiveData와 연결하는 작업
        model.getAll().observe(this, Observer{ notice ->
            // notice에 공지사항이 들어있음
            // 데이터의 변경이 이루어졌을 때 실행할 작업
        })

이렇게 생성한 관찰자 안에다가 데이터의 변경이 이루어질 때마다 하고 싶은 작업을 적어주면 된다.

변경이 이루어질때마다 반복적으로 저 안에 코드가 실행될 것이다.

 

[목차 1-1]에서 내가 마구잡이로 작성한 코드처럼

아이템이 추가됐을 때의 UI 업데이트 따로, 아이템이 삭제됐을 때의 UI 업데이트 따로 이렇게 업데이트할 필요 없이

'아이템이 변경'된다면 이 코드가 실행되니 UI 업데이트 코드를 단 한 곳에만 적어주면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스레드에서 오래 걸리는 작업을 하더라도 작업이 끝나면 알아서 알려주니

LiveData와 Observer를 사용함으로써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

 

위 코드에서 this는 현재 Observer를 생성한 액티비티를 뜻한다.

Observer의 생명주기는 UI 컨트롤러(액티비티 or 프래그먼트)의 생명주기를 따른다.

액티비티가 실행되면 관찰자도 감시를 시작하고

액티비티가 정지되면 관찰자도 감시를 중단한다.

 

위 코드에서는 notice 변수 안에 감시하고 있는 그 데이터 값이 들어있다.

람다식으로 표현했기 때문에 낯선 형태의 코드일 수도 있다.

'원하는 변수 이름 ->' 이렇게 적으면 된다.

 

3. 예제

 

juhwankim-dev/SelfStudy

코틀린으로 공부한 것들을 올리는 공간입니다. Contribute to juhwankim-dev/SelfStud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설명을 쉽게 한다고 했지만 코드를 직접 짜 보기 전에는 확 와 닿지가 않는다.

위 예제는 배달의 민족 웹 사이트에서 공지사항을 불러와 화면에 뿌려주는 앱이다.

Retrofit과 LiveData를 같이 사용해서 조금 헷갈릴 수 있다.

 

4. 더 알아보기

4-1. LifeCycleOwner

[목차 2-3]에서 설명했듯이 Observer는 UI 컨트롤러의 생명주기를 따른다.

Observer가 어떤 액티비티 혹은 어떤 프래그먼트의 수명주기를 따를지 정해주어야 한다.

액티비티 같은 경우는 this 키워드를 이용해 현재 액티비티를 지정해주면 되는데

프래그먼트 같은 경우 this를 사용하면 안 된다.

이유에 대해서 잘 정리해놓은 블로그가 있어서 꼭 한 번씩 읽어보길 추천한다. 👍

 

3줄 요약해보자면

1. 기존의 프래그먼트 생명주기를 사용하면 복수의 Observer가 호출될 가능성이 있다.

2. 구글이 실수한 부분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프래그먼트 생명주기가 도입되었다.

3. this 대신에 viewLifecycleOwner를 사용하면 된다.

 

4-2. observeForever

[목차 2-3]와 [목차 4-1]에서 언급한 것처럼 Observer는 UI 컨트롤러의 생명주기를 따른다.

액티비티가 실행되면 관찰자도 감시를 시작하며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액티비티가 정지되면 관찰자도 감시를 중단하며 알림을 받을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런데 lifeCycleOwner와 상관없이 항상 알림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게 바로 observerForever 메서드이다.

이 메서드를 사용하면 lifeCycleOwner가 없어도 관찰자를 생성하고 LiveData와 연결할 수 있으며

UI 컨트롤러의 생명주기와 상관없이 항상 알림을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 일반적인 Observer 생성
        model.getAll().observe(this, Observer{ notice ->

        })

        // observerForever를 통한 생성 
        model.getAll().observeForever(Observer{ notice ->

        })

이렇게 observe대신 observerForever를 사용하면 되고 this를 넣어주지 않아도 된다.

대신 관찰자를 삭제할 때는 removeObserver 메서드를 사용하여 직접 삭제해주어야 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LiveData - 공식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느낀 점

  • observeForever를 기억해두고 아직 이때밖에 써먹어보지 못했다. 현재로서는 굳이 이걸 쓸 일이 있을까 싶긴 하다.
  • 구글도 실수를 하는구나...
  • LiveData라는 걸 처음 접했을 때 너무 편해서 좋았는데 이걸 나만 모르고 있었다니라며 세상에 대한 배신감이 들었다 (...) 이 좋은걸 나만 몰랐네...
  • LiveData를 관찰하는 거랑 비슷한 느낌으로 rx에서는 구독 개념으로 이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고 한다. 사실 rx가 먼저 나온 기술인 듯. 아직 많은 회사에서 rxJava나 rxKotlin을 쓰는 것 같은데 개념이 비슷해서 금방 익힐 수 있을 것 같다. 써봐야지

📘 참고한 자료


 

반응형

댓글